암호화폐 선두주자인 비트코인(bitcoin)에 대해서 파헤쳐 볼까요?
안녕하세요?
지난번 암호화폐에 대한 것을 이야기하면서
그 중에 암호화폐 시장을 주도 하고 있는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bitcoin)과 이더리움(Ethereum)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했는데요.
이 중에서
비트코인(bitcoin)부터
알아볼까요?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디지털 단위인 '비트(bit)'와 '동전(coin)'을 합친 용어예요.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가명의 프로그래머가 빠르게 진전되는 온라인 추세에 맟춰 갈수록 기능이 떨어지는 달러화, 엔화,원화 등과 같은 기존의 법화(legal tender)를 대신할 새로운 화폐를 만들겠다는 발상에서 2009년 비트코인을 처음
개발했다고 합니다.
특히 2009년은 미국발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시기여서 미연방준비제도(Fed)가 막대한 양의 달러를 찍어내
시장에 공급하는 양적완화가 시작된 해로, 달러화 가치 하락 우려가 겹치면서 비트코인이 대안 화폐로 주목받기
시작했어요.
비트코인의 핵심은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회사 등 어떤 중앙집중적 권력의 개입 없이 작동하는 새로운 화폐를
창출하는 데 있어요.
그는 인터넷에 남긴 글에서 "국가 화폐의 역사는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을 것이란 믿음을 저버리는 사례로
충만하다"라고 비판했다고 하는데요.
비토코인은 은행을 거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직접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분산화된 거래장부' 방식을 도입했어요.
시스템상에서 거래가 이뤄질 때마다 공개된 장부에는 새로운 기록이 추가되어지게 되는데요.
이를 '블록체인(Block chain)'이라고 합니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기록이 맞는지 확인해 거래를 승인하는 역할을 맡은 사람을 '채굴자(mining)'라고 합니다.
컴퓨터 파워와 전기를 소모해야 하는 채굴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비트코인 시스템은 채굴자에게 새로 만들어진
비트코인을 주는 것으로 보상합니다. 채굴자는 비트코인을 팔아 이익을 남길 수 있지만, 채굴자 간 경쟁이 치열해지거나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면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정확히 '채굴자(mining)'에 대해서 좀 더 알아 보고 넘어갈까요?
보통 채굴자라고 하면 광산에서 천연자원을 캐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로 알고 있는 저에게 있어서
이 용어가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이였어요.
비트코인에서 채굴자란
작업증명 등의 합의 알고리즘에서는 원장(ledger)의 기록을 생성하기 위한 작업에 높은 비용이 필요해요.
따라서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분산원장기술(DLT)은 원장 기록 생성을 장려하기 위하여
원장 생성자(채굴자 또는 검증자)에게 생성에 대한 보상 및 이에 포함된 거래의 수수료를 받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예요.
다시 말해, 가장 많은 작업을 한 노드가 분산원장에 포함될 기록을 확정하는 권한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른 보상을 받게 되는 것이죠.
참고로 채굴은 광산에서 금을 캐는 작업에 빗대어 분산원장 시스템이라는 광산에서 합의 알고리즘이라는 작업을 통해
코인을 소유하는 것을 표현한 용어라고 할 수 있죠.
작업증명과 같은 합의 알고리즘과 그에 따른 보상을 의미해요.
비트코인은 완전한 익명으로 거래가 되요. 컴퓨터와 인터넷만 되면 누구나 비트코인 계좌를 개설할 수 있어요.
비트코인은 발행 주체가 없는 돈이라고 해요. 가상화폐이자, 이 화폐가 작동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인데요.
인터넷 서비스마다 자기만의 가상화폐를 만들고 있지요.
싸이월드는 '도토리'를 만들었고, 네이버는 '네이버 캐쉬', 페이스북은 '페이스북 크레딧',
카카오는 '초코'라는 가상화폐를 만들었어요.
그 외에도 자기 서비스 이름 뒤에 '캐시'라는 이름을 붙인 가상화폐를 만든 곳은 많이 있죠.
이렇게 가상화폐가 많은데도 비트코인이 특별히 주목을 받은 건, 작동방식이 특이하기 때문이라고 해요.
비트코인은 주인이 없다 라고 할 수 있어요.
특정 개인이나 회사가 운영하는 '캐시'가 아니예요.
작동하는 시스템은 P2P 방식으로, 여러 이용자의 컴퓨터에 분산돼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잠시 P2P가 뭘까요?
P2P(peer to peer)란? 인터넷에서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되어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peer는 '응시하다' 또는 '동료'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 줄어서 P2P라고 해요.
Person to Person으로의 의미도 있다고 하네요.
비트코인을 만들고 거래하고 비트코인을 현금으로 바꾸는 사람 모두가 비트코인 발행주가 되고,
그 중 누구 한 사람을 콕 집어서 '이 사람이 주인'이라고 말할수 없다고 해요.
비트코인용 계좌를 만들 때도 신분증 검사 같은 건 필요 없고,
비트코인에서는 계좌를 '지갑'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지갑마다 고유한 번호가 있는데 숫자와 영어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를 조합해 약 30자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요.
한 사람이 지갑을 여러 개 만들 수 있는데, 개수에 제한은 없고, 다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별도 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를 써야 한다고 합니다.
비트코인이 익명을 거래되고, 컴퓨터와 인터넷만 되면 누구나 비트코인 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비트코인은 돈세탁이나 마약거래에 사용되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죠..
또 다른 특징은 통화 공급량이 엄격이 제한된다는 점이예요.
현재 10분마다 25개의 새 비트코인이 시스템에 추가되지만 21만개가 발행 될 때마다 반감돼 앞으로 10분당 추가되는
비트코인은 12.5개, 6.25개로 줄다가 0으로 수렴한다고 해요.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개로 정해져 있어요.
가상화폐 지갑회사 블록체인인포에 따르면 2017년 12월 7일까지 채굴된 비트코인은 1671만개 정도로 채굴한도 2100만개의 80%가 채굴된 셈이라고 밝혔어요.
한편 비트코인은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방대한 데이터센터들에 있는 컴퓨터에 의해 채굴된다고 합니다.
채굴을 위해 매년 34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량인 32테라와트가 소용되고 있는데, 2019년 중반에는 전력 사용량이
미국 전역에 공급되는 전력량으로 늘어나고 대부분 채굴이 중국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죠.
실제 전 세계 대규모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은 대부분 중국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값산 컴퓨터를 손쉽게 구할 수 잇고, 전기요금도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중국은 2017년 9월 기업들이 가상화폐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가상화폐고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했고,
중국내 모든 가상화폐 거래소를 폐쇄하는 등 가상화폐시장 규제를 강화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몇칠전 뉴스에 <중국,세계 최초 디지털 화폐 도입 임박>했다는 기사를 앞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것처럼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는 거죠.
5월 6일자 글로벌이코노믹지에 가상화폐의 주도권을 가지고 미국과 중국이 경쟁이라는 제목으로 글이 올려져 있네요..
이제는 점점 가상화폐를 국가별로 공식 사용될 날이 멀지 않은 듯 합니다.
비트코인 사용자들은 인터넷에서 내려 받은 '지갑'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뱅킹으로 계좌이체하듯 비트코인을 주고
받을 수 있어요.
인터넷 환전사이트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하거나 현금화 할 수도 있구요.
비트코인은 소수점 여덟 자리까지 단위를 표시해 사고팔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현재 비트코인의 시세는 어떻게 될까요?
한국경제TV 5월 7일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아래와 같습니다.
비트코인의 현재가에 또 한번 놀라고 말았습니다.
이렇게 비트코인(BTC, bitcoin)에 대해서 알아 봤어요.
참 새로운 세상이 오고 있네요.
끊임없이 새로운 용어와 새로운 형태의 삶의 방식이 생기고 있습니다.
이 말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은 끊임없이 배워 가야 도태되지 않는 삶을 살 수 있다는 말이 되나요?
다음은 암호화폐의 두번째 주자인 이더리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Money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확진자 지원금 신청 완료 (0) | 2022.02.25 |
---|---|
가상화폐 두번째 주자 - 이더리움(Ethereum) (0) | 2020.05.12 |
디지털 화폐?! 가상화폐?!비트코인?! 또 다른 돈이야기..이게 뭐니(money)? (2) | 2020.05.05 |
금융감독원사이트와 절친하기- 절세상품 중 연금저축 가입 하셨나요? (0) | 2020.04.26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자세히 들여다 보기 (3) | 2020.04.20 |